제품소개

자연을 품은 혁신기술자연석 식생블럭

식생블록

자연석 모양 적층·단층 표현공법을 활용한 환경 보존형 블록의 新 테크놀리지

특징 및 효과

  • 삼점지지표현공법
    돌과 돌이 3개소 이상 서로 맞물린 형태로 벽을 일체화 함으로써 강도를 내는 야면석 쌓기의 기본인 삼점지지공법을 인조석 블록으로 표현함으로써 구조강도가 뛰어납니다.
  • 자연석 적층·단층표현공법
    수성암 계열 자연석의 특색인 돌의 눈, 무늬의 흐름, 섬세한 요청(단층, 적층 등 석회층과 같은 질감)의 표면처리로 위화감이 없고 주위의 경치와 조회되어 자연환경 본 모습으로 보입니다.
  • 녹화
    공간부에 흙채움하면 보습성이 우수한 식생기반이 조성되어 식물을 여름철의 건조로부터 보호합니다.

연결고리

  • 연결봉
    블록을 상호 연결해서 호안의 일체화를 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이것이 단선되면 호안은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.
    • 1) 단선되지 않는 강도와 부식 등에 대한 내후성, 내구성에 우수한 용융아연도금(알루미늄 함유율10%, 부착량 300이상)으로 된 강선을 사용합니다.
    • 2) 강선을 소정 길이로 직선 절단한 다음 양 단말을 1회반 이상 비틀어 제작된 것입니다.

환경보전형 연결블록

A형(표준형)

A형(측면도)

B형(하부마감용)

C형(상부마감용)

D형(측면마감용)

부설단면도

부설평면도

시공요령

  • 1. 법면 앞비탈 기슭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법면을 소정의 구배로 정지합니다.
  • 2. 제방 비탈면에 흡출 방지재를 시공합니다.
  • 3. 블록의 양단측에 있는 관통공에 전용시공기구를 설치하고 천천히 끌어 올립니다.
  • 3. 제발비탈면의 경사와 자동으로 구배조정되는 시공 전용기구로 소정의 위치에 가지고 가서 설치합니다.
  • 3. 1단째에는 b블록(또는 D블록)을 가로방향으로 설치합니다.
  • 3. 2단째에는 A블록을 교차시키면서 설치합니다.
    역시 양단부에는 D블록을 설치 후 관통공에 연결봉이 연결되어 전체를 고정시킵니다.
  • 3.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호안머리(천단부)에는 C형 블록을 설치한 후 호안머리를 마감합니다.
  • 3. 식생부는 객토를 넣고 적당하게 다짐을 해서 잔디 등을 붙입니다.
  • 3. 객토를 하지 않아도 토사, 낙엽 등이 퇴적해서 실물이 잘 자랄 수 있습니다.

기초부의 치수(참고치)

종류 구배 기초지수(mm) 콘크리트체적(㎡ 거푸집면적(㎡ 기조재체적(㎡)
1 : N H1 H2 B1 B2 Vc A Vb
제품
높이
(t)
225 1.5 400 100 500 300 0.170 0.861 0.105
2.0 350 0.178 0.836
2.5 380 0.182 0.823
3.0 400 0.185 0.816

시공기구

시공구 철봉이 휘어지지 않는지, 블록을 고정시킨 L형 회전걸쇠가 잘 부착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 샤클 와이어 등 비품도 준비합니다.